사사기 7:1~25 ” 기드온과 300 보통 사람”

”기드온과 300 보통 사람”

우리에게 평화의 왕이 오셨습니다.

왕의 말씀에는 능력이 있습니다.

우리에게 평화의 왕이 오셨습니다.

1. 하나님은 약한 자를 통해 일하신다.

드디어, 기드온이 전쟁에 나갑니다. 수많은 적들이 앞에 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하나님은 더 적은 이스라엘 군대를 원하십니다.
결국, 300명의 이스라엘 군대가 13만5,000명의 미디안 군대와 싸워 이기는 전쟁이 되었습니다.
직접 싸운 사람은 한사람도 없고
그냥 나팔 불고, 항아리를 깨고, 횃불을 들고, 소리 질렀을 뿐이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님께서 300명의 군사를 모아서, 하나님께서 싸우셨고, 적들을 도망가게 하셨습니다.

나의 구원, 나의 인생은 하나님께 달렸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속한 또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강한자를 통해 일하시는 것이 아니라, 약한 자를 통해 일하신다는 것입니다.
약함에도 불구하고 일하시는게 아니라, ‘약하기 때문에 일하신다’ 라는 사실입니다.
12 지파 중에 약한 므낫세 지파 출신에 , 므낫세 지파 중에 가장 약한 가문에, 그 가문에서 막내인 기드온을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회복하는데 쓰셨습니다.
기드온이 강했다면, 미디안보다 많은 군사가 있었다면, 아마 그들은 당당하게 전쟁에 나갔을 것입니다.

“내가 교만하게 되지 못하도록 하나님께서 내 몸에 가시를 주셨습니다.
그것으로 나를 치셔서 나로 하여금 교만해지지 못하게 하시려는 것이었습니다.
나는 이것을 내게서 떠나게 해 달라고 주님께 세 번이나 간청하였습니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내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내 은혜가 너에게 족하다. 그리고 이런 말씀하시죠. 내 능력은 약한 데서 완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능력이 내게 머무르게 하기 위하여 나는 더욱더 기쁜 마음으로 내 약점들을 자랑하려고 합니다.” 우리가 잘 아는 바울의 고린도후서의 말씀입니다.
만약에, 하나님이 교만하지 않게 하기 위해 우리에게 육체의 가시를 주셨다라고 한다면 억울했을 것 같은데, 바울은 억울하지 않다고 이야기합니다.
그 이유는, 내가 약하기 때문에, 예수님의 능력이 임하는 은혜를 누리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약점을 보완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더 강해지려 하는 것도 아닙니다.
있는 모습 그대로, 나의 약함으로 인해, 오히려 주님이 나에게 오신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자만, 교만은 뭘까요?
그것은 하나님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나 혼자서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자만이고, 교만입니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군사를 300명으로 줄인 이유가 하나님의 전쟁임으로 인한 승리이지만,
이스라엘이 자기 힘으로 이겼다고 자만하고, 사사기의 모든 내용처럼 힘들지 않을때는
하나님이 필요 없고,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으며,
이제 다른 적들이 나타나도 자기들의 힘으로 싸우려고 할 것을 염려하셨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자만하지 않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겸손은 무엇일까요?
하나님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아는 것입니다.
하나님 없이는 살아갈 수 없습니다.
하나님, 제가 하나님 없이는 설교할 수 없습니다.
하나님 없이는 이 교회를 섬길 수 없습니다.
하나님 없이는 안 된다는 걸 깨닫는 것이 겸손입니다.
성경의 인물들을 잘 살펴보면, 아브라함, 모세,다윗, 베드로 모두가 다 약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약한 데서 완전해졌습니다. 약해야 예수님의 능력이 머무른다.
이 사실을 의지하는 복된 인생되기를 소망합니다. 

2. 하나님은 약한 자에게 용기를 주신다는 것입니다.

약자의 가장 큰 특징은 두려움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그런 두려움에 떠는 우리에게 용기와 확신을 주십니다.
적군은 13만 5천명.이스라엘은300명. 싸울 용기가 났을까요?
하나님은 적진으로 내려간 기드온에게, 적군의 병사를 통해서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보고 듣게 하셨습니다.
미디안 군대 13만 5천명 모두가 두려워 떨고 있는 모습을 보고 들은 기드온은 확신을 갖게 됩니다.
아! 하나님이 함께하고 계시는구나!
하나님이 이미 이곳에서 일하고 계셨구나!
하나님이 나를 통해 전쟁을 승리하실 거구나!
두려워 떨던 기드온이 하나님이 주시는 확신을 통해 용기를 갖게 되고, 전쟁에서 승리를 하게 됩니다.

하나님께서는 기드온에게 확신과 용기를 주셨던 것처럼 우리들에게도 확신과 용기를 주십니다.
어떤 방법으로 하나님은 우리들에게 확신을 주실까요?
하나님께서는 말씀과 순종으로 확신과 용기, 즉 믿음을 주십니다.

로마서 10장 17절 , ‘믿음은 들음에서 생기고, 들음은 그리스도를 전하는 말씀에서 비롯됩니다.’
우리가 예수님 말씀, 생명의 말씀을 읽고 듣고 붙잡을 때 그 말씀이 우리에게 믿음을 주십니다.

디모데후서 3장 16절 ~ 17절,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으로 된 것으로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합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사람을 유능하게 하고 그에게 온갖 선한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성경 말씀이 하나님의 영감으로 된 것이기 때문에
우리를 교훈하고, 책망하고, 바르게 하고, 의로 교육하신다고 하십니다.
기드온처럼 우리는 적군들 앞에 두려워 떨 수밖에 없는 존재지만,
그 하나님의 생명의 말씀, 진리의 말씀을 붙잡을 때
우리 안에 능력을 갖게 하는 역사가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히브리서 4장 12절,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고 힘이 있어서, 어떤 양날칼보다도 더 날카롭습니다. 그래서, 사람 속을 꿰뚫어 혼과 영을 갈라내고, 관절과 골수를 갈라놓기까지 하며, 마음에 품는 생각과 의도를 밝혀냅니다.’
하나님 말씀은 죽어 있는 말씀이 아니고, 살아 있는 말씀입니다.
어떤 칼보다도 날카롭다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를 훈련시키시고 바로 세우신다는 것입니다.

결국,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어떻게 확신을 주시고 용기를 주시냐면?
하나님의 살아 계심을, 그분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에게 하시는 것입니다.
우리가 죄인 되었을 때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의 우리를 향한 사랑을 확증하셨다는 것을 보여 주셨습니다.
말씀이 육신되어 오신 예수님,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을 통해서, 그분의 부활의 능력을 통해서,
우리는 이 험한 세상을 약하지만, 우리는 담대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세상만 보면, 세상처럼만 살아갑니다.
그러나,
말씀을 보면, 하나님의 나라를 바라보면, 하나님의 세계를 바라보면, 하나님의 약속을 바라보면,
우리는 그 말씀으로 힘을 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시는 말씀을 통해, 또 그 말씀에 순종을 통해 우리는 용기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우리들에게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와 함께 있을 것이다.’ 라고 약속을 하셨습니다.
그러나, 이 말씀 앞에 먼저 이 말씀을 하셨는데 거기에도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태복음 28장 19절,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서,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침례를 주고,’
제자들은 예수님 믿는다는 이유로 죽임 당하던 시대에 두려웠지만,
이 말씀 믿고 의지함으로 하나님 말씀을 전하고, 그들을 제자로 삼고, 침례를 행하는,
하루하루의 삶 속에 순종했더니 예수님이 나와 함께 하시는구나! 를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가지 않으면, 경험하지 못합니다.
전하지 않으면, 경험하지 못합니다.
어렵지만 한 걸음 내딛고, 한 걸음 움직일 때 하나님이 함께 하심을 경험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약한 자와 함께 하십니다. 약한 자를 통해 일하십니다.
비록 두렵지만, 믿음으로 그물을 던져 그 주님이 함께 하심을 경험하는
우리들의 삶이 될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